진료시간안내

  • 평일 08:30 - 16:30
  • 토요일 08:30 - 12:30
  • 점심시간 없음

일요일/공휴일 : 휴무

061-274-7575


컬럼

홈으로_ 커뮤니티_ 컬럼

제목

"혈액투석, 다 같은 치료일까?"… HDF·HDx 차이와 선택 기준

image

혈액투석은 말기 신부전 환자의 생명을 지탱하는 핵심 치료지만, 투석 방식에 따라 노폐물 제거 효율과 합병증 위험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최근에는 일반 투석보다 더 많은 요독을 제거해 삶의 질을 높이는 '혈액여과투석(hdf)'과 '고용량 hdf', '확장 혈액투석(hdx)'이 주목받고 있다.

투석 전문의 김승규 원장(동탄연세맑은내과의원)은 "특히 일반 투석으로는 잘 빠지지 않는 중분자 요독이 가려움, 불면, 빈혈 악화, 심혈관 합병증과 직결되면서 어떤 방식으로 투석을 받느냐가 더욱 중요해졌다"고 설명한다. 이번 기사에서는 일반 혈액투석과, hdf, hdx의 차이점과 효과, 비용 등 환자들이 궁금해하는 내용을 정리했다.

일반 혈액투석과 혈액여과투석(hdf)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일반 혈액투석은 '확산'이라는 원리를 이용해 크기가 작은 요독을 주로 제거합니다. 대부분의 투석실에서 사용하는 기본적인 방식입니다. 반면 혈액여과투석(hdf)은 투석 중 보충액을 추가로 넣어 '대류'라는 원리까지 활용합니다. 덕분에 일반 투석으로는 잘 빠지지 않는 중분자 요독까지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왜 중분자 요독이 문제가 되나요?
중분자 요독은 일반 노폐물보다 크기가 큰 '중간 크기 단백질성 노폐물'을 말합니다. 체내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지지만, 신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쉽게 쌓이게 됩니다. 문제는 이 물질들이 단순히 몸속에 남아 있는 데서 그치지 않고, 가려움·불면·빈혈 악화·말초신경병증·심혈관 질환 같은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킨다는 점입니다. 일반 혈액투석으로는 충분히 제거되지 않아 몸에 남기 쉽기 때문에, 삶의 질 저하와 사망 위험 증가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고용량 혈액여과투석은 hdf와 어떻게 다른가요?
고용량 혈액여과투석(high-volume hdf)은 혈액여과투석(hdf) 중에서도 보충액을 충분히 사용해 대류량을 충분히 확보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hdf가 처음 나왔을 때는 생존률 향상 효과가 크지 않았지만, 이후 연구에서 '충분한 대류량'을 확보해야 심장·혈관 합병증을 줄이고 생존률을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고용량 혈액여과투석은 기계만 있으면 받을 수 있나요?

그렇지 않습니다. 아래 3가지 조건이 모두 갖춰져야 합니다.

▷ 보충액을 충분히 사용해 목표 대류량을 충족할 것
▷ 투석 중 혈류 속도가 충분히 높을 것
▷ hdf에 적합한 투석막 (필터) 을 사용할 것

즉, 장비뿐 아니라 혈관 상태·투석막(필터)· 투석기 세팅이 모두 갖춰져야 가능한 치료입니다.

내가 지금 hdf를 받고 있는지 어떻게 확인하나요?
hdf는 기계에 펌프가 두 개(투석액+보충액) 돌아갑니다. 또 투석기 화면이나 차트에 대류량(convection volume)이 표시됩니다. 본인 기계 화면이나 기록지를 확인해 보면 어떤 방식으로 투석 중인지 바로 알 수 있습니다.

모든 혈액투석 환자가 hdf를 받을 수 있나요?
아쉽게도 그렇지 않습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hdf 적용이 어렵습니다.

▷ 투석 혈관 상태가 좋지 않아 혈류가 충분히 나오지 않는 경우
▷ 투석 카테터 사용 중
▷ 투석 중 잦은 혈관통이 있는 경우
▷ 투석 중 저혈압, 흉통 등 허혈성 심장 증상이 있는 경우
▷ 항응고제를 쓰기 어려운 경우

이런 상황에서는 안전하게 고용량 hdf를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hdf가 어렵다면 대안은 무엇인가요?
대안으로는 확장 혈액투석(hdx)이 있습니다. 이는 mco(medium cut-off) 투석막이라는 특수한 필터를 사용해, 일반 혈액투석 세팅 그대로 하면서도 중분자 제거율을 높인 방식입니다. 즉, 혈류 속도가 낮아 hdf가 어려워도 적용 가능한 방법입니다.

hdf와 hdx 중 어떤 방식이 더 좋은가요?
두 방식 모두 일반 혈액투석보다 중분자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심혈관 합병증 감소 및 생존률 향상 면에서도 좋은 결과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다만 두 방식을 직접 비교한 대규모 연구는 부족합니다. 현재까지는 고용량 hdf가 사망률 개선 근거가 상대적으로 더 많다고 볼 수 있습니다.

hdf나 hdx로 치료하면 병원비가 더 나오나요?
아닙니다. 우리나라 투석 수가는 정액제이기 때문에, hdf, hdx 어떤 방식을 하더라도 환자 본인 부담금은 변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병원 입장에서는 더 비싼 투석막을 사용, 더 많은 물을 사용, 기계 조작을 위한 인력 투입이 증가하기 때문에 수익성이 감소하여 선뜻 시행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환자 생존률과 건강 지표가 좋아지는 만큼, 장기적으로는 병원에도 이익이 될 수 있는 구조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이전사진보기
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
다음사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