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시간안내
- 평일 08:30 - 16:30
- 토요일 08:30 - 12:30
- 점심시간 없음
일요일/공휴일 : 휴무
일요일/공휴일 : 휴무
061-274-7575
홈으로_ 커뮤니티_ 컬럼
잠 못 자면 치매 위험 40%↑…뇌 인지력도 떨어진다
美 메이요 클리닉 연구팀, 인지 기능 정상 성인 2,750명 대상 추적 연구
만성 불면증 환자, 치매 또는 경도 인지 장애 위험 40% 높아
수면 부족이 알츠하이머병 관련 뇌 변화와도 연관됨을 시사
만성 불면증을 겪는 사람은 뇌 노화와 치매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메이요 클리닉(mayo clinic) 연구팀은 인지 기능이 정상인 성인 2,750명을 대상으로 장기간 연구를 진행해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는 수면 부족이 단순한 피로를 넘어 뇌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며, 수면의 질 관리가 인지 기능 유지에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연구팀은 평균 연령 70세의 인지 기능이 정상인 성인 2,750명을 평균 5년 6개월간 추적 관찰했다. 참가자 중 16%는 만성 불면증(3개월 이상 일주일에 최소 3일 이상 잠을 잘 수 없는 상태)을 앓고 있었다. 연구 시작 시점에 참가자들은 수면 습관에 대한 질문에 답했으며, 매년 사고력과 기억력 테스트를 받았다. 일부는 뇌 스캔을 통해 백질 고강도(뇌 조직 손상 가능 영역)와 알츠하이머병 관련 단백질인 아밀로이드 플라크를 조사했다.
연구 결과, 만성 불면증이 있는 사람의 14%가 경도 인지 장애 또는 치매로 발전한 반면, 불면증이 없는 사람에서는 그 비율이 10%에 그쳤다. 또한 불면증이 있는 경우, 인지 장애(또는 치매) 위험이 불면증이 없는 사람보다 40%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들은 평균적으로 3.5세 더 많은 연령에 해당하는 수준의 인지 능력 저하를 보였다.
특히, 최근 2주간 수면이 평소보다 부족했다고 응답한 그룹은 인지 능력 테스트에서 더 낮은 점수를 기록했으며, 이는 4세 연령 차이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이 그룹은 또한 뇌 영상에서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된 아밀로이드 플라크(비정상 단백질 침착) 및 백질 고강도(뇌혈관 손상 부위)가 더 많이 발견됐다.
이번 연구의 제1저자인 디에고 z. 카르발류(diego z. carvalho) 박사는 "만성 불면증이 사고 능력 저하와 뇌의 물리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음을 보여준 이번 연구는, 수면의 질이 단순히 휴식을 넘어 뇌의 회복력과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전했다. 단, 연구팀은 불면증과 치매 간에 통계적 연관성이 높다는 것을 밝힌 것이지, 불면증이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association of chronic insomnia, longitudinal cognitive outcomes, amyloid-pet, and white matter changes in cognitively normal older adults: 인지적으로 정상적인 노인의 만성 불면증, 종단적 인지 결과, 아밀로이드-pet 및 백질 변화의 연관성)는 9월 미국 신경학회 의학 저널 '뉴롤로지(neurology)'에 게재됐다.